목회자가 교회 리더들에게 코칭 기술을 활용해야 하는 이유_#02

한국NCD 0 24

2. 지속적인 신앙 실천과 열매 맺기

코칭은 성도들이 신앙 생활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신앙의 지속적인 실천은 신앙의 깊이를 더하고, 성도의 삶에 풍성한 열매를 맺게 합니다. 이를 위해 목회자는 코칭을 통해 성도가 신앙의 실천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
예: 지속적인 신앙 실천을 위한 코칭

상황:

이 권사님은 오랜 신앙 생활을 통해 많은 성경 지식을 쌓았지만, 실제 생활에서 그 지식을 꾸준히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이 권사님은 특히 이웃 사랑 실천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싶어합니다.

코칭 과정:

1. 목표 설정:

* 목회자는 이 권사님과의 첫 코칭 세션에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도록 도와줍니다.

* 목표: 매주 최소 두 번 이웃을 돕는 활동에 참여한다.

2. SMART 원칙 적용:

* Specific(구체적):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, 이웃을 돕기 위해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한다.

* Measurable(측정 가능): 매주 자원봉사 활동 일지를 작성하고, 활동 내용을 기록한다.

* Achievable(실현 가능): 이 권사님의 시간표를 고려해 실천 가능한 활동을 선택한다.

* Relevant(관련성): 이웃 사랑 실천은 신앙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이다.

* Time-bound(시간 제한): 8주 동안 실천하고, 그 이후에 결과를 평가한다.

3. 경청과 질문:

* 목회자는 이 권사님의 현재 생활 패턴을 경청하고,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질문을 통해 스스로 답을 찾도록 유도합니다.

* 예: "현재 어떤 자원봉사 활동에 관심이 있으신가요?", "이 활동을 통해 어떤 변화를 기대하시나요?"

4. 실천 계획 수립:

* 이 권사님은 주변에 있는 양로원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기로 결정합니다.

* 매주 일지에 자원봉사 활동의 내용과 소감을 기록하고, 목회자와 공유하기로 합니다.

5. 피드백 제공:

* 매주 목회자는 이 권사님에게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

* 긍정적인 피드백: "이번 주에 양로원에서 자원봉사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. 어떤 점이 가장 보람 있었나요?"

* 건설적인 피드백: "목요일에는 시간이 부족해 참여하지 못하셨네요.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었는지 함께 생각해 봅시다."

6. 격려와 지원:

* 이 권사님이 목표를 달성했을 때, 목회자는 그를 칭찬하고 더 큰 목표를 설정하도록 격려합니다.

* 예: "이 권사님, 8주 동안 매주 자원봉사를 꾸준히 실천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! 이제 다음 단계로 다른 자원봉사 활동에도 참여해보는 것은 어떨까요?”

[GROW 모델을 활용한 이 권사님과의 코칭 대화]

1. Goal (목표 설정)

목회자: 권사님, 신앙 생활에서 어떤 목표를 이루고 싶으신가요?

이 권사님: 이웃을 돕는 실천을 꾸준히 하고 싶습니다.

목회자: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이웃을 돕고 싶으신가요?

이 권사님: 매주 최소 두 번씩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싶습니다.

Comments